[기념일을 기념해]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일상적 평화와 인권의 상관관계

본문 바로가기
권익옹호
> 열린공간 > 권익옹호
권익옹호
권익옹호란?
권익옹호란 누군가가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말하고, 권리를 확보하고, 이익을 표현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얻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회통합, 평등, 사회정의를 증진할 수 있다.
권익옹호 절차
  1. STEP 01 접수

    접수

  2. STEP 02 사정

    사정

  3. STEP 03 옹호계획 수립

    옹호계획 수립

  4. STEP 04 계약

    계약

  5. STEP 05 옹호지원

    옹호지원

  6. STEP 06 종결 및 사후관리

    종결 및 사후관리

권익옹호 기관 안내
권익옹호 기관 안내표
기관명 연락처 홈페이지
국가인권위원회 1331 www.humanrights.go.kr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1644-8295 www.naapd.or.kr
경북장애인권익옹호기관 1644-8295 www.gbaapd.or.kr
장애인인권침해예방센터 1577-5364 www.15775364.or.kr
상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권익옹호 방법 안내
  • 건의함
    건의함
    위치 : 1F-2F 계단 사이
  • 고객의 소리함
    고객의 소리함
    위치 : 1층 이용인 휴게실
  • 진정함
    진정함
    위치 : 1층 안내실 앞
문의
상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지역사회개발팀 054)534-6933~5
장애인 차별금지법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항 등 각종 인권 침해 사례가 있을 시 본인 또는 당사자와 관계된 분들께서는 즉각적인 신고를 통해 신속한 권리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 바랍니다.

[기념일을 기념해]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일상적 평화와 인권의 상관관계

지역권익옹호팀 0 68


162b5312ebd4d345b4299c8aafa63e84_1692766959_8026.jpg 

동백꽃 사진이 배경으로 놓여있다. (출처 : 게티이미지) 우측 상단에는 국가인권위원회 로고가 있다. 좌측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8월 14일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서울여자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김신현경


1991년 8월 14일, 전 ‘위안부’ 김학순이 얼굴을 드러내고 ‘위안부’ 경험을 증언했다.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가 경악했다. 그전까지 전쟁시 성폭력은 으레 벌어지는 일이며 피해자의 수치로 여겨졌다. 그런데 이름과 얼굴을 밝힌 김학순의 구체적인 증언은 피해자의 수치를 가해자의 폭력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김학순의 증언 이후 1992년 아시아의 여러 여성 단체들이 결성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 연대회의>는 2012년, 8월 14일을 ‘세계 위안부 기림의 날’로 제정했다. 이날은 바로 김학순의 최초 증언과 전 세계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기리는 날이다. 한국 정부는 2017년부터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세계의 ‘위안부’라는 말처럼 김학순의 증언은 과거를 숨기고 살아온 전 세계 다른 피해자들에게 용기를 주었다. 전 아시아 및 네덜란드 피해자가 등장한 것이다. 게다가 이 시기 구 유고슬라비아 내전(1992-1994년)과 르완다 내전(1994년)에서의 집단 강간 사태가 벌어지면서 국제 사회는 전시 성폭력(wartime sexual violence)에 대한 인식, 법규정, 판례, 법 이론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162b5312ebd4d345b4299c8aafa63e84_1692766992_1667.jpg

책과 의사봉이 놓인 사진이다. (출처: 게티이미지)

이런 과정에서 전시 성폭력은 우발적 사건이 아니라 적에게 수치심을 안겨주기 위해 면밀하게 계획된 공격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었다. 전시 성폭력이 적에 대한 공격일 수 있는 이유는 평화 시 여성의 성이 남성, 민족 및 국가의 소유물로 간주되어왔기 때문이다. 일본군 ‘위안부’의 경우 제국 일본 본국과 식민지였던 조선, 대만의 여성들은 일본 남성 및 국가의 소유물로 간주되어 체계적으로 강제 동원되었고, 다른 아시아 여성들은 일본의 적국 여성들로서 공격의 일종으로 강간 및 동원된 것이다. 즉, 전쟁은 일상과 완전히 다른 상태가 아니라 일상에서의 특정 논리가 극대화된 상태다.


162b5312ebd4d345b4299c8aafa63e84_1692767015_1244.jpg

철장 앞에서 한 사람이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있는 사진이다. (출처: 게티이미지)

이런 통찰은 ‘위안부’ 문제를 흘러간 과거사나 국가 간 외교 대결이 아닌, 여성 인권과 일상적 평화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확장된다. 여성 인권은 여성도 인간이라는 지극히 평범한 명제가 아니다. 여성 인권은 여성은 물론 인간이지만, 그 당연한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제대로 누리지 못 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한다. 남성의 후손 생산과 성적 즐거움을 위한 사물, 나아가 민족과 국가의 소유물로 여겨져온 여성의 성은 여성 인권의 핵심에 위치한다. 오늘날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이슈인 성폭력, 성희롱, 스토킹, 데이트 폭력, 가정 폭력이 ‘위안부’ 문제와 연결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평화를 전쟁이 없는 상태라는 소극적 의미에서 일상에서의 평화적 관행과 규범의 실천이라는 적극적 의미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일상적 평화는 바로 여성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들이 그 무엇으로도 환원할 수 없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권리를 보장받는 인권 사회에서 기대,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상태인 것이다.




0 Comments
제목